맨위로가기

영국령 홍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령 홍콩은 19세기부터 1997년까지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아편 무역을 계기로 홍콩 섬을 할양받아 성립되었다. 이후 주룽반도와 신계를 조차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자유 무역항으로 발전하며 대영제국의 주요 무역 거점이 되었다. 20세기 초 제조업 발달과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며, 1997년 중국에 반환되어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로 전환되었다. 영국령 홍콩은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 체제와 동서양 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홍콩 관계 - 주런던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주런던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를 대표하여 영국과 여러 북유럽 및 동유럽 국가 간의 무역 및 경제 관계를 증진하고, 홍콩의 발전 홍보와 투자 지원을 주요 기능으로 수행하며, 1996년 법에 따라 런던에 설립되었다.
  • 영국-홍콩 관계 - 홍콩 반환
    홍콩 반환은 1842년 아편전쟁 이후 영국의 지배를 받던 홍콩이 1997년 7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에 주권이 이양된 사건으로, 중영 공동선언에 따라 특별행정구로 지정되어 "일국양제" 원칙하에 2047년까지 기존 시스템을 유지하기로 했으나 중국 정부의 통제 강화로 민주화 운동과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았다.
  • 영국령 홍콩 - 홍콩 반환 협정
    홍콩 반환 협정은 1984년 중국과 영국이 체결한 국제 협정으로, 1997년 홍콩의 주권을 중국에 반환하며,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홍콩 특별행정구는 50년간 고도의 자치권을 유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 영국령 홍콩 - 67폭동
    67 폭동은 1967년 홍콩에서 노동 분쟁으로 촉발되어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받은 친중 세력이 주도한 대규모 시위 및 폭력 사태로, 홍콩 식민 정부의 강경 진압과정에서 폭탄 테러와 국경 충돌 등으로 격화되어 사회 혼란과 인명 피해를 야기하고 홍콩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홍콩 - 홍콩 국제공항
    홍콩 국제공항은 란타우섬에 위치한 세계적인 허브 공항으로, 카이탁 공항을 대체하여 개항한 이래 지속적인 시설 확장을 통해 수천만 명의 여객과 수백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며 홍콩 공항공사가 운영하고 홍콩 공항철도 등으로 시내와 연결된다.
  • 홍콩 - 홍콩 세븐스
    홍콩 세븐스는 1976년 시작되어 럭비 유니온의 국제적 발전에 기여한 국제 럭비 세븐스 토너먼트로서, 상업적 성공과 다양한 국가의 참여로 "럭비 유니온의 올림픽"이라 불리며, 홍콩 스타디움에서 매년 컵, 플레이트, 볼, 쉴드 트로피를 놓고 경쟁하고 축제 분위기 속에서 젊은 선수들의 등용문 역할을 한다.
영국령 홍콩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홍콩의 위치
홍콩의 위치 (동남아시아 중심)
기본 정보
공식 명칭영국령 홍콩
중국어 공식 명칭'英屬香港'
영어 공식 명칭British Hong Kong
존속 기간1841년–1941년, 1945년–1997년
일본 점령 기간1941년–1945년
수도빅토리아 (사실상)
공용어영어
중국어 (광둥어)
종교기독교
민간 신앙
불교
도교
힌두교
이슬람교
유대교
국가하느님, 여왕/국왕 폐하를 지켜 주소서
통화홍콩 달러 (1937년부터)
무역 달러 (1895년–1937년)
스페인 달러 (1895년까지)
중국 현금 (1895년까지)
인구6,217,556 명 (1996년)
인구 밀도5,796 명/km²
면적80.4 km² (1848년)
1,042 km² (1901년)
주민홍콩 사람
정치 체제
정부 형태입헌 군주제
통치자빅토리아 (1841–1901)
에드워드 7세 (1901–1910)
조지 5세 (1910–1936)
에드워드 8세 (1936)
조지 6세 (1936–1941, 1945–1952)
엘리자베스 2세 (1952–1997)
총독헨리 포틴저 경 (최초, 1843–1844)
크리스 패튼 (최후, 1992–1997)
행정 장관조지 맬컴 (최초, 1843)
앤슨 찬 (최후, 1993–1997)
입법부입법회
역사
영국 점령추엔피 조약 (1841년 1월 26일)
시작난징 조약 (1842년 8월 29일)
추가 획득베이징 조약 (1860년 10월 18일)
홍콩 영토 확장 협약 (1898년 6월 9일)
일본 점령일본 점령 (1941년 12월 25일 – 1945년 8월 30일)
종료홍콩 반환 (1997년 7월 1일)
경제
GDP (PPP)1,540억 달러 (1996년)
1인당 GDP (PPP)23,843 달러 (1996년)
명목 GDP1,600억 달러 (1996년)
1인당 명목 GDP24,698 달러 (1996년)
지니 계수51.8 (1996년)
지니 계수 변화증가
인간 개발 지수0.808 (1995년)
인간 개발 지수 변화증가
관련 정보
이전 국가보안 현(1841년): 신안 현
일본 점령 시기 (1945년): 일본령 홍콩
다음 국가일본 점령 시기 (1941년): 일본령 홍콩
홍콩 (1997년): 홍콩 특별 행정구
깃발 및 문장
1959년부터 1997년까지의 홍콩 깃발
홍콩의 깃발 (1959–1997)
1959년부터 1997년까지의 홍콩 문장
홍콩의 문장 (1959–1997)

2. 역사

대영제국의 동인도 회사광둥성 근처에 무역항을 건설하면서 홍콩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839년 청나라의 아편 수입 금지 조치는 제1차 아편 전쟁을 일으켰다. 1841년 영국군홍콩섬을 점령했고, 난징 조약을 통해 청나라는 홍콩섬을 정식으로 영국에 넘겨주었다. 이듬해 영국은 빅토리아 시티를 건설하고 홍콩총독부를 설치했다.[13]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한 후, 베이징 조약에 따라 주룽(구룡)반도가 영국에 영구적으로 귀속되었다. 1898년 영국은 신제(신계) 지역을 99년간 조차받았다.

1941년 12월 8일 일본 제국이 홍콩을 점령했으나, 1945년 8월 영국이 다시 수복하였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많은 이민자들이 중국 공산당의 억압을 피해 홍콩으로 피난 왔다. 1978년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 개혁 이후, 홍콩은 중국 대륙에 투자되는 외국 자금의 주요 공급원이 되었다. 이듬해 선전에 경제 특구가 건설되면서, 홍콩의 산업은 제조업섬유에서 점진적으로 서비스 업종으로 변화했다.

1984년 12월 19일, 중영 공동선언이 발표되어 1997년 7월 1일 홍콩의 주권이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고,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가 될 것이 확정되었다.[18]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사회주의 정책은 50년간 시행되지 않기로 약속되었다.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이 이루어지고 둥젠화가 초대 홍콩 특별행정구 행정장관으로 취임했다.

2. 1. 영국 식민지 성립 (19세기)

동인도 회사광둥성 근처 도시에 무역항을 건설한 이후, 1839년 청나라의 아편 수입 금지령은 제1차 아편 전쟁을 야기했다. 린저쉬(임칙서)는 아편 무역 억제 임무를 맡아 광저우에서 외국 상인들의 아편을 몰수, 소각했다. 1841년 영국군홍콩섬을 점령했고, 난징 조약으로 청나라는 홍콩섬을 정식으로 영국에 할양했다. 이듬해 영국은 빅토리아 시티를 건설하고 홍콩총독부를 신설했다.[13] 1841년 엘리엇은 아편전쟁 중 촨피 조약(Chuenpi Convention)에서 린의 후계자 치산(琦善)과 협상했다. 1월 20일, 엘리엇은 황량한 홍콩섬과 그 항구를 영국 왕관에 할양하는 것을 포함한 "예비 합의의 결론"을 발표했다. 엘리엇은 저우산 대신 홍콩섬을 선택했는데, 그는 상하이(上海)에 더 가까운 정착지는 "적대 행위의 무기한 연장"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지만, 홍콩섬의 항구는 광저우의 영국 무역 공동체에게 귀중한 기지였기 때문이다. 1841년 1월 26일 섬 점령으로 영국 통치가 시작되었다. 중국 주둔 영국군 사령관인 고든 브레머(Gordon Bremer) 제독은 해병대의 ''환호의 사격''과 군함의 왕실 예포 속에 포세션 포인트(Possession Point)에서 섬을 공식적으로 점령하고 유니언잭(Union Jack)을 게양했다.[14] 1843년 6월, 초대 홍콩 총독으로 헨리 포틴저가 취임하여 식민지로서의 영국 통치가 시작되었다.

홍콩 섬의 초기 그림. 빅토리아 시가 된 해안가 정착지를 보여준다.


스프링 가든 레인(Spring Garden Lane), 1846


제2차 아편 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한 후, 1860년 베이징 조약에 따라 주룽(구룡)반도가 영국에 영구적으로 귀속되었다. 1898년 영국은 홍콩 방어를 위해 영토 확장을 추진, 신제(신계) 지역을 99년간 조차받았다. 1898년 4월 베이징 주재 영국 공사 클로드 맥도널드 경이 영국을 대표하고, 리훙장이 중국을 대표하여 협상을 시작한 후, 제2차 베이징 조약이 6월 9일에 체결되었다. 19세기 말 외세들은 더 이상 중국 영토의 완전한 주권을 획득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데 동의했고, 중국이 러시아(Kwantung Leased Territory), 독일(Kiautschou Bay concession), 프랑스(Guangzhouwan)에 같은 해에 할양한 다른 영토 할양과 일치하게, 홍콩의 확장은 99년간의 임대 형태를 취했다. 이 임대에는 심천강(Sham Chun River) 남쪽의 나머지 구룡과 230개의 섬이 포함되었는데, 이는 신계(New Territories)로 알려지게 되었다. 영국은 1899년 4월 16일에 공식적으로 점령했다.

1930년대 홍콩


1860년대 빅토리아 항


1870년대 센트럴


1988년 홍콩 빅토리아 항구, 건설 중인 중국은행 타워

2. 2. 20세기 초: 발전과 혼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홍콩은 홍콩 정부의 식민 통치 아래 화남 무역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1884년 홍콩 경마 클럽(왕립 홍콩 경마회)이 해피밸리 경마장을 건설하여 영국인들의 사교 장소로 활용되었고, 1877년 설립된 홍콩 서의서원은 1910년 홍콩대학교로 발전하였다.

경제적으로는 1865년 홍콩상하이은행이 극동 최대 은행으로 성장하였고, 초기에는 은화가 지역 통화로 사용되다가 1935년 홍콩 달러가 발행되었다.

1928년 장제스(장개석)의 난징 국민정부청나라와 영국 간의 불평등 조약 개정을 추진했으나, 영국은 협상에 응하지 않았다. 당시 중화민국과 신계의 국경은 개방되어 중국인들의 자유로운 왕래가 가능했다.

2. 3. 일본 점령기 (1941-1945)

1941년, 일본군이 중국 본토에서 국경을 넘는 모습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일본 제국은 홍콩을 공격했다. 12월 8일, 일본 공군 폭격기가 단 한 차례 공격으로 영국 공군력을 무력화시키면서 홍콩 전투가 시작되었다.[59] 이틀 후, 일본군은 신계(新界)의 진 드링커스 라인(Gin Drinkers Line)을 돌파했다. 영국군 사령관 크리스토퍼 몰트비(Christopher Maltby) 소장은 본토에서 여단을 철수하지 않는 한 섬을 오랫동안 방어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12월 18일, 일본군은 빅토리아 항(Victoria Harbour)을 건넜다.[59] 12월 25일까지 조직적인 방어는 저항의 작은 거점들로 축소되었다. 몰트비는 총독 마크 에이치슨 영(Mark Aitchison Young) 경에게 항복을 권고했고, 영 경은 추가적인 손실을 줄이기 위한 그의 조언을 받아들였다. 영국군 사상자는 2,232명(전사 또는 실종)과 2,300명(부상)이었고, 일본군은 1,996명(전사)과 6,000명(부상)이라고 보고했다.[59]

일본군은 많은 지역 주민들에게 강간을 포함한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16]

일본 점령 하에서는 탈영국화 정책을 실시하여 공용어였던 영어 사용을 금지하고, 대신 일본어 사용을 지도하였다(광둥어 사용은 계속되었다). “네이선 로드”와 같은 영국식 주요 지명을 “가토리(香取) 거리”와 같은 일본식 지명으로 개칭하였다. 홍콩 달러를 대체하는 화폐로 군표가 대량 발행되어 홍콩 경제에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야기하였다. 영국계 기업과 은행이 영업을 정지했을 뿐만 아니라, 일본과 전투 상태에 있던 중화민국 본토와의 무역이 대폭 감소하였고, 영국의 식민지가 많았던 동남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 등과의 무역이 완전히 중단되었기 때문에, 홍콩은 경제적 곤경에 처하게 되었다.[59]

1945년 8월 일본의 항복까지 3년 8개월에 걸친 일본 통치 시기를 홍콩에서는 “”이라고 부른다.[59]

2. 4. 영국 통치 재개와 냉전

1945년 8월 14일,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자 영국은 홍콩으로 해군 특별전대를 편성했다.[16] 9월 1일, 세실 하코트(Cecil Harcourt) 후방제독은 자신을 수장으로 하는 군정을 선포했다. 그는 9월 16일 총독부에서 공식적으로 일본의 항복을 받았다.[16] 1946년 5월 총독으로 복귀한 영(Young)은 중국 정부의 홍콩 회복 의지를 꺾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들에게 더 큰 지분을 주어야 한다는 믿음으로, 선거권을 확대하는 "영 플랜"으로 알려진 정치 개혁을 추진했다.[16] 그러나 이러한 정치 개혁은 중국 국공내전의 영향으로 중단되었다.

1945년 8월 30일, 세실 하코트(Cecil Harcourt) 후방제독 지휘하에 영국군이 홍콩을 재점령하다


중국 국공내전의 결과 중국국민당 정부는 타이완으로 망명했고, 1949년에는 중국공산당에 의한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공산주의를 피해 많은 중국인들이 중국 대륙에서 홍콩으로 망명하여 저렴한 노동력을 제공하였고, 스와이어 그룹이나 자딘 매선 등 기술과 자본을 가진 영국을 중심으로 한 외국 자본과 화교 자본도 상하이에서 홍콩으로 본거지를 옮겨 홍콩의 경제 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둥젠화(동건화)나 천팡안생(앤슨 찬) 등 홍콩의 화교 엘리트들 중 상하이 출신이 많은 것도 이러한 배경 때문이다.

1949년 이후 홍콩에 인접한 중국 대륙을 지배하게 된 중국 공산당이 이끄는 중화인민공화국은 홍콩의 주권을 유보한 채 영국과의 국교 수립 협상을 진행했다. 1950년 영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을 국가 승인하고 국교 수립을 추진했으며,[60] 이는 서방 국가 중 중화인민공화국을 가장 빨리 국가 승인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영국 정부는 장래 홍콩의 주권 이양 대상을, 중국 국민당이 이끄는 중화민국에서 중국 공산당 정부가 이끄는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변경했다.

냉전 시기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있어 서구 세계와의 유일한 창구 역할을 했다. 문화대혁명과 대약진운동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홍콩으로 피난했다. 이들을 탈출자라고 한다.

1967년 좌익 폭동 당시 경찰과의 충돌


문화대혁명이 일어나자 홍콩에서도 주민을 중심으로 한 폭동(1967년 홍콩 폭동)이 발생하여, 홍위병선전 방면에서 월경하고, 영국군과 홍콩 경찰과 국경 부근에서 소규모 총격전이 발생하기도 했다. 폭동 진압 과정에서 시위대에 부상자가 발생하자,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홍콩 정부에 사과를 요구했다. 또한, 인민해방군 부대를 국경 부근에 배치하여 압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곧 당시 중국의 총리였던 주은래(저우언라이)가 "장기적인 이익을 위해 홍콩을 회수하지 않는 방침"을 분명히 함으로써, 폭동은 진정되었다.[57][58]

2. 5. 경제 발전과 중국 반환

한국 전쟁 발발 후 유엔이 중화인민공화국에 경제 제재를 가하면서, 홍콩은 중계 무역에 의존하기 어렵게 되었다.[62] 한편,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유입된 이민자와 난민들이 저렴한 노동력을 제공하여 제조업 중심의 경제 구조 전환에 기여했다.[62] 베트남 전쟁 이후에는 남베트남 출신 보트피플이 유입되기도 했다. 1984년부터는 중화인민공화국 밀입국자를 본국으로 송환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홍콩 정부는 적극적 비개입주의를 표방하며 경제 개입을 최소화했다. 1960년대 물 부족 위기 해결을 위해 중화인민공화국 동강의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라인을 건설했다.[63] 1970년대부터 섬유 산업 중심의 수출형 경공업이 발전했고, 리카싱 같은 기업가들이 등장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홍콩은 싱가포르, 타이완, 대한민국과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며 경제 발전을 이룩했다.

1984년 12월 19일, 중영 공동선언이 발표되어 1997년 7월 1일 홍콩의 주권이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고,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가 될 것이 확정되었다.[18]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사회주의 정책은 50년간 시행되지 않기로 약속되었다.

1989년 천안문 사건 이후 홍콩에서는 민주화 운동과 이민 붐이 일어났다. 1990년 홍콩 기본법이 제정되었으나, 1992년 크리스토퍼 패튼 총독의 민주화 정책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가 긴장되었다.

1997년 7월 1일, 홍콩 반환이 이루어지고 둥젠화가 초대 홍콩 특별행정구 행정장관으로 취임했다. 홍콩 반환은 대영제국의 종말로 여겨지기도 한다.[64][65][66][67]

3. 정치

홍콩은 영국의 왕립 식민지였으며, 대략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을 본떠 행정부를 운영했다. 특허장은 식민지 정부의 헌법적 기초를 형성했고, 왕실 지시서는 영토가 어떻게 통치되고 조직되어야 하는지 자세히 설명했다.

총독은 정부 수반이었으며, 영국 군주가 식민지에서 왕실을 대표하는 자로 임명했다. 행정권은 총독에게 집중되었으며, 총독은 스스로 입법회와 행정회의의 거의 모든 구성원을 임명하고 양원의 의장을 겸임했다.[19] 영국 정부는 식민지 정부를 감독했으며, 외무장관은 공식적으로 입법회와 행정회의에 대한 모든 추가 사항을 승인했고,[19] 군주는 특허장과 왕실 지시서를 수정할 수 있는 단독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행정회의는 행정 정책 변경을 결정하고 입법회의 승인을 받기 전에 주요 법안을 검토했다. 이 자문 기구는 제한된 일련의 식민지 조례에 따라 이차 입법을 발표하기도 했다. 입법회는 제안된 법안을 토론하고 공공 자금의 배정을 담당했다. 이 의회는 식민지 통치 말기에 더 많은 민주적 대표성을 도입하기 위해 개혁되었다.[19] 1985년에 간접 선출된 기능 선거구 의석이 도입되었고, 1991년에 직접 선출된 지역구 의석이 도입되었다. 1994년 추가 선거 개혁은 입법부를 광범위하게 대표하는 기관으로 만들었다. 행정 공무원은 식민지 장관(후에 행정장관)이 이끌었으며, 총독의 부관이었다.[19]

총독부


사법 제도는 영국법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중국 거주민이 관련된 민사 사건에서는 중국 관습법이 부차적인 역할을 했다.[20] 홍콩 대법원은 최고 법원이었으며 식민지의 모든 민사 및 형사 사건을 관할했다. 초기 식민지 시대에는 영국인이 관련된 중국 다른 지역의 영외 항소 사건도 이 법원에서 재판을 받았다. 대법원의 추가 항소는 추밀원 사법위원회에서 심리했으며, 이 위원회는 전체 영국 제국의 최종 판결권을 행사했다.[21]

1975년 3월 홍콩 정부는 여론 조사 프로그램인 "여론 방향 움직임(MOOD)"을 도입했다.[22]

1861년, 총독 허큘리스 로빈슨 경은 홍콩 사관후보생 제도를 도입하여 영국 출신의 젊은 졸업생들을 모집하여 2년 동안 광둥어와 중국어 서면을 배우도록 한 후, 공무원으로 빠르게 배치하였다. 사관후보생들은 점차 행정의 중추를 담당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중국계가 공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고, 그 뒤를 이어 여성도 진출하게 되었다. 1950년대에는 사관후보생을 행정관으로 개칭하였고, 이들은 영국 통치 기간 동안 공무원 사회의 엘리트로 남았다.

4. 경제

영국 법과 정부의 안정성, 안전성, 예측 가능성 덕분에 홍콩은 국제 무역의 중심지로 번영할 수 있었다.[62] 식민 초기 10년 동안 아편 무역에서 나온 수입은 정부 재정의 주요 원천이었다. 아편의 중요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었지만, 식민 정부는 1941년 일본 점령까지 그 수입에 의존했다.[62]

전쟁 이전 홍콩은 영국의 식민지 지배 하에 중국과 여러 외국 간의 중계 무역항으로 발전하였고, 홍콩 정부는 고전적인 자유방임주의(레세페르)를 고수했다. 그러나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유엔의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경제 제재가 이루어지면서 중계 무역에 대한 의존이 불가능해졌다.

한편, 당시의 경제적 불평등과 정치 체제 등을 이유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이민자와 난민이 유입되었고,[62] 그들이 저렴한 노동력이 되어 홍콩의 제조업을 지탱했다. 베트남 전쟁 종전 후에는 남베트남에서 보트피플이 유입되었다. 증가하는 홍콩으로의 유입 인구를 억제하기 위해, 1984년 이후로는 허가 없이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밀입국하는 사람들은 모두 본국으로 송환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홍콩 정부도 급증하는 난민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주택 공급과 시가지 확장을 위한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정부 규제를 최대한 억제하고 낮은 세율을 유지하는 등 과도한 경제 개입은 피했다. 이것이 적극적 비개입주의이다.

1960년대에는 물 부족 위기에 직면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동강에서 홍콩으로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도 건설되었다.[63]

1970년대부터는 섬유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수출형 경공업이 발전하여, 후에 홍콩 최대 재벌을 이끄는 리카싱과 같은 기업가를 배출했다. 또한 1960년대 이후 여객기의 제트화, 대형화에 따라 항공기를 이용한 사람과 화물의 수송량이 급증했고, 홍콩이 동남아시아에서 유통의 중심지 역할을 확립하면서 198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홍콩은 싱가포르, 타이완, 한국과 함께 경제 발전을 이룬 "아시아의 네 마리 용" 또는 "아시아 NIEs"로 불리게 된다.

1980년대 후반까지 많은 중국계 사람들이 홍콩에서 주요 사업가가 되었다. 이러한 억만장자들 중에는 당시 식민지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 중 한 명이 된 리카싱 경이 있다.

5. 문화

동서양 문화의 혼합은 영국령 홍콩의 특징이다. 가족과 교육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중국적 가치관은 경제적 자유와 법치주의를 포함한 서구적 이상과 융합되었다.[23] 홍콩은 오랜 식민 통치 기간과 경제, 사회, 문화적 발전의 다른 속도를 통해 중국 본토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정체성을 발전시켰다.[24][25] 주류 문화는 중국의 여러 지역 출신 이민자들로부터 유래했으며, 영국식 교육, 별개의 정치 체제, 그리고 20세기 후반 홍콩의 급속한 발전이 영향을 미쳤다.[24][25]

반환 이후에도 주민들의 지역 정체성은 유지되었으며, 인구의 대다수(52%)가 "홍콩인"으로, 11%는 "중국인"으로 자신을 묘사했다. 나머지 인구는 "중국 내 홍콩인"(23%)과 "중국 내 중국인"(12%) 등 혼합된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28]

핵가족이 가장 흔한 가구 형태였지만,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대가족도 드물지 않았다.[30] 1971년까지 일부다처제가 합법이었는데, 이는 영국 당국이 공공 질서에 비교적 무해하다고 여긴 현지 관습에 간섭하지 않는 식민지 관행에 따른 것이었다.[31]

풍수와 같은 영적인 개념은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는 종종 적절한 건물 위치와 배치를 보장하기 위해 컨설턴트를 고용했다. 八卦(bagua) 거울은 악령을 막는 데 정기적으로 사용되었고,[32] 건물에는 종종 4가 포함된 층수가 없었다.[33] 4라는 숫자는 광둥어로 "죽다"라는 단어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이다.[34]

영국 영어제2언어로 사용되었고, 1974년 중국어가 공용어 지위를 부여받기 전까지는 식민지의 유일한 공용어였다.[35] 초등학교중등학교에서 영국 영어가 가르쳐졌을 뿐만 아니라, 1967년에 설립된 영국계 학교 재단 (English Schools Foundation)이 운영하는 영어 교육 학교들도 있었다.[36]

''(왼쪽)'' 전형적인 딤섬 식당 음식; ''(오른쪽)'' 차찬텡 아침 식사와 홍콩식 밀크티

영국 통치하의 홍콩 요리는 주로 광둥 요리에 기반을 두었다. 이 주식이었으며, 보통 다른 요리와 함께 먹었다.[37] 재료의 신선함이 강조되었고, 가금류와 해산물은 일반적으로 재래시장에서 살아있는 채로 팔렸다.[38] 하루에 다섯 번의 식사가 있었다: 아침, 점심, 오후 차, 저녁, 그리고 ''야식''.[39] ''얌차''(브런치)의 일부인 딤섬은 가족 및 친구들과 함께 외식하는 전통이었다. 서양 음식의 현지 버전은 ''차찬텡''(홍콩식 카페)에서 제공되었다.[37]

격투 자세를 취하고 있는 브루스 리 동상
스타 애비뉴에 있는 브루스 리 동상


홍콩 영화 제작은 1909년에 시작되었지만, 1940년대 후반 상하이 영화 제작자들이 홍콩으로 이주하면서 영화 제작의 중심지가 되었다.[40] 1960년대에는 ''세상의 수지 wong''과 같은 영화를 통해 해외 관객들에게도 잘 알려지게 되었다.[41] 1972년 브루스 리의 ''용쟁호투''가 개봉되면서 홍콩 영화는 홍콩 밖에서도 인기를 얻게 되었다. 1980년대에는 ''영웅본색'', ''열혈남아'' 같은 영화들이 무술 영화를 넘어 전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42] 성룡, 견자단, 이연걸, 주윤발, 양자경 등은 외국 영화에서 액션 중심의 역할을 자주 맡았다. 1990년대 초 홍콩 영화 산업의 전성기에는 매년 400편 이상의 영화가 제작되었지만, 그 이후로는 중국 본토로 산업의 중심이 이동했다.[43]

장국영 ''(왼쪽)''은 선구적인 광둥팝 가수로 여겨졌으며, 유덕화 ''(오른쪽)''는 4대 천왕의 일원으로 수십 년 동안 홍콩 음악과 영화계의 아이콘이었다.

광둥팝은 1970년대 홍콩에서 등장한 광둥어 대중음악 장르이다. 상하이식 ''시대곡''에서 진화했으며, 광둥 오페라와 서구 팝 음악의 영향도 받았다.[44] 허관걸, 매염방, 장국영, 담요문 등의 가수들이 부른 노래가 현지 언론에 소개되었고, 1980년대에는 수출된 영화와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광둥팝이 세계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다.[45]

열광하는 럭비 팬들, 관중석에서 바라본 모습
매년 봄에 열렸던 홍콩 세븐스


좁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홍콩은 정기적으로 홍콩 세븐스, 홍콩 마라톤, 홍콩 테니스 클래식을 개최했으며, 창립 AFC 아시안컵을 개최하기도 했다.[50] 홍콩은 중국 본토와는 별도로 국제 대회에 자체 스포츠팀을 파견하여 참가했다. 1952년 이후 거의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금메달 4개를 획득했다. 이래산은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홍콩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52]

용선 경주는 매년 열리는 단오절에 거행되는 종교 의식으로 시작되었다. 이 경주는 관광청의 해외 홍콩 이미지 제고 노력의 일환으로 현대 스포츠로 부활했다. 최초의 현대식 경주는 1976년에 조직되었고, 해외 팀들은 1993년 첫 국제 경주에 참가하기 시작했다.[54]

1960년부터 1996년까지 로열 홍콩 조키 클럽(Royal Hong Kong Jockey Club)으로 알려진 홍콩 조키 클럽은 홍콩 최대의 납세자가 되었다.[55]

6. 사회

영국령 홍콩에서는 여러 차례 민주화 운동이 있었다. 1925년부터 1926년까지 일어난 광저우-홍콩 파업은 반제국주의적 성격을 띠었다.[17] 1966년 폭동과 마오쩌둥 사상을 따르는 세력이 주도한 1967년 폭동은 문화대혁명의 여파로, 노동 분쟁과 정부에 대한 불만이 겹쳐 일어난 대규모 시위였다.[57] 1967년 폭동은 좌익 진영과 홍콩 주둔 중국 관리들이 식민 정부에 항의하면서 더욱 심해졌으며,[58] 당시 중국 공산당 지지자들은 반영 투쟁 위원회를 조직하기도 했다.

런던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원의 스티브 창(Steve Tsang)은 홍콩이 중국에게 굴욕적인 곳임에도 불구하고, 홍콩 주민들 사이에서 중국으로의 반환을 위한 주요 운동이 없었다는 점을 지적했다.[17]

한국 전쟁에 중화인민공화국이 개입하면서 서구 세계와 고립되자,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서구 세계와의 유일한 창구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1967년 문화대혁명이 끝날 때까지 이어졌다. 문화대혁명과 대약진운동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홍콩으로 피난하면서, 홍콩의 인구가 급증했는데, 이들을 탈출자라고 부른다.

문화대혁명 당시 홍콩에서는 주민들이 폭동을 일으켰고, 홍위병선전에서 넘어와 영국군 및 홍콩 경찰과 총격전을 벌이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홍콩 정부에 사과를 요구하고, 인민해방군을 국경 근처에 배치하며 압력을 가했다. 그러나 주은래 총리가 "장기적인 이익을 위해 홍콩을 회수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폭동은 진정되었다.

6. 1. 민주화 운동

광저우-홍콩 파업(1925~1926)은 반제국주의적 성격을 띠었다. 1966년 폭동과 마오쩌둥 사상을 따르는 세력이 주도한 1967년 폭동은 본질적으로 문화대혁명의 여파로 노동 분쟁과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인한 대규모 시위였다.[57] 1967년 폭동은 노동 분쟁으로 시작되었지만, 좌익 진영과 홍콩에 주둔한 중국 관리들이 이 기회를 이용해 추종자들을 동원하여 식민 정부에 항의하면서 사태가 급속히 악화되었다.[58] 중국 공산당 지지자들은 폭동 당시 반영 투쟁 위원회를 조직했다.

런던대학교 동양 아프리카 연구원의 중국 연구소장인 스티브 창(Steve Tsang)은 홍콩이 영국에 의한 중국의 굴욕을 상징하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차례의 중국 민족주의 고조에도 불구하고 홍콩 중국 거주민들에 의해 중국으로의 반환을 위한 주요 운동이 하나도 없었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고 지적했다.[17]

냉전 하에서 발생한 한국 전쟁에 중화인민공화국이 개입하여 서구 세계로부터 고립되자,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있어 서구 세계와의 유일한 창구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1967년에 발생한 문화대혁명의 종언까지 이어졌다. 문화대혁명과 대약진운동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홍콩으로 피난했다. 이들에 의해 홍콩의 인구는 급증했다. 이들을 탈출자라고 한다.

문화대혁명이 일어나자 홍콩에서도 주민을 중심으로 한 폭동이 발생하여, 홍위병선전 방면에서 월경하고, 영국군과 홍콩 경찰과 국경 부근에서 소규모 총격전이 발생하기도 했다. 폭동 진압 과정에서 시위대에 부상자가 발생하자,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해 홍콩 정부에 사과를 요구했다. 또한, 인민해방군 부대를 국경 부근에 배치하여 압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곧 당시 중국의 총리였던 주은래가 "장기적인 이익을 위해 홍콩을 회수하지 않는 방침"을 분명히 함으로써, 폭동은 진정되었다.

참조

[1] 보고서 Main Results https://www.statisti[...]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2018-09-07
[2] 웹사이트 Hong Kong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8-09-06
[3] 보고서 Gini Coefficient Fact Sheet http://www.legco.gov[...] Legislative Council 2018-09-07
[4] 보고서 Hong Kong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8-09-07
[5] 학술지 Government and People in Hong Kong 1841-1962: A Constitutional History https://www.jstor.or[...]
[6] 아카이브 A Draft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and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Future of Hong Kong https://archive.org/[...]
[7] 웹사이트 The Joint Declaration https://www.cmab.gov[...] 2021-04-08
[8] 서적 The Opium Kings https://www.pbs.org/[...] PBS Frontline 2007-05-16
[9] 서적 Forbidden Drug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 뉴스 Opium and its alkaloids https://web.archive.[...] 2007-05-08
[11] 서적 Opium, empire and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a study of the Asian opium trade, 1750–1950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웹사이트 Opium as a commodity and the Chinese drug plague https://web.archive.[...] 2009-09-13
[13] 서적 The Chinese Repository https://books.google[...]
[14] 서적 Narrative of a Voyage 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Henry Colburn
[15] 서적 The Whites are Enemies of Heaven: Climate Caucasianism and Asian Ecological Protection Duke University Press 2020-01-01
[16] 간행물 Wartime Experience, Collective Memories, and Hong Kong Identity
[17] 서적 Hong Kong: The Pearl Made of British Mastery and Chinese Docile-Diligence Nova Publishers
[18] 뉴스 How did the Chinese Government settle the question of Hong Kong through negotiations? http://www.fmcoprc.g[...] Office of the Commissioner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2020-11-19
[19] 간행물 Green Paper: The Further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Government in Hong Kong https://archive.org/[...] Hong Kong: Government Printer 1984-07-01
[20] 학술지 A Requiem for Chinese Customary Law in Hong Ko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04-01
[21] 서적 A Worthy Predecessor? The Privy Council on Appeal from Hong Kong, 1853 to 1997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학술지 Public opinion polls and covert colonialism in British Hong Kong 2018-07-09
[23] harvard_reference
[24] harvard_reference
[25] harvard_reference
[26] harvard_reference
[27] harvard_reference
[28] 웹사이트 HKU POP releases survey on Hong Kong people's ethnic identity and the 2018 review and 2019 forecast survey https://www.hkupop.h[...] Public Opinion Programme, University of Hong Kong 2019-01-26
[29] harvard_reference
[30] harvard_reference
[31] 서적 China's grandmothers : gender, family, and aging from late Qing to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1-01
[32] harvard_reference
[33] harvard_reference
[34] harvard_reference
[35] 뉴스 Hong Kong Adopts A Language-Law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74-03-24
[36] 법률 The English Schools Foundation Ordinance https://www.elegisla[...]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서적 Annual Report on Hong Kong https://books.google[...] H.M. Stationery Office
[56] 논문
[57] 서적 Hong Kong's Watershed: The 1967 Riots Hong Kong University Press
[58] 뉴스 When the Cultural Revolution spilled over into riots in Hong Kong – and changed lives forever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6-06-10
[59] 웹사이트 RTHK Memory 三年零八個月 https://app4.rthk.hk[...] 2022-09-30
[60] 웹사이트 British note recognis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en.wikisourc[...]
[61] 웹사이트 Taiwan-UK Relations - Taipei Representative Office in the U.K. 駐英國台北代表處 https://www.roc-taiw[...]
[62] 웹사이트 【19-05】香港の「一国二制度」の行方 {{!}} SciencePortal China https://spc.jst.go.j[...] 2022-09-30
[63] 논문 Management of limited water resources in Hong Kong
[64]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British Empire, 1781–1997 Random House
[65] 뉴스 Charles' diary lays thoughts bare BBC News 2006-02-22
[66] 서적 The Twentieth Century,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Volume IV Oxford University Press
[67] 웹사이트 Britain, the Commonwealth and the End of Empire http://www.bbc.co.uk[...] BBC News 2008-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